포스트

36. IT 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

36. IT 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

네트워크 구축 관리

네트워크 구축

절차

  1. 요구사항 정의
  • 고객의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명확화 구체화 하는 단계
  1. 기본 설계
  • 각 요소에서의 설정의 방침을 결정하는 단계

  • 물리설계, 논리설계, 보안설계, 부하분산 설계, 고가용성 설계, 관리설계

  1. 상세 설계
  • 기본설계 정보를 바탕으로 각 장비의 상세 수준까지 명확하게 접근하는 형태
  1. 구축
  • 상세 설계서의 정보를 바탕으로 장비를 설정하는 단계
  1. 테스트
  • 구축한 환경에서 단위테스트와 장애테스트 등 각종 시험을 하는 단계
  1. 운용
  • 구축한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긔고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운영해 나가는 단계

Network Topology

계층형 | Tree

  • 장점
    • 네트워크 관리가 쉽고, 새로운 장치를 추가하기 쉬움
    • 네트워크의 신뢰도가 높음
  • 단점
    • 트래픽 집중에 따른 속도 저하현상(병목현상)이 발생하기 쉬움
    • 상위 노드 고장 시 상위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불가능

버스형 | Bus

  • 장점
    • 설치비용이 적고, 신뢰성 우수
    • 구조가 간단하고, 새로운 노드 추가가 쉬움
  • 단점
    • 네트워크 병목현상 발생이 쉬움
    • 장애 발생 시 전체 네트워크 마비

성형 | Star

  • 장점
    • 고속 네트워크에 적합
    • 노드 추가가 쉬움
    • 개별 링크 장애 시에도 네트워크에 영향이 없음
  • 단점
    • 중앙 노드 장애 시 전체 네트워크 불통
    • 노드 증가에 따라 네트워크의 복잡도 증가

링형 | Ring

  • 장점
    • 저렴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
    • 충돌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
  • 단점
    • 네트워크의 구성을 변경하기 힘듦
    • 링크 장애 시 전체 네트워크 불통

망형 | Mesh

  • 장점
    • 장애발생 시에도 다른 시스템에 영향이 적음
    • 많은 양의 데이터 처리에도 문제 없음
    • 회선 수 : n (n - 1) / 2
    • 각 장치당 포트 수 : n - 1
  • 단점
    • 구축과 운영비용이 고가
    • 장애 발생 시 고장 지점을 찾기가 쉽지 않음

네트워크 장비

1계층 장비

  • 물리계층 : 실제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

NIC | Network Interface Card

  • 네트워크 안에서 컴퓨터 간의 통신을 할 때 사용하는 장비
  • 전송매체에 접속하는 역할, 데이터의 입력 및 송수신, 프로토콜의 처리 기능을 담당
  • MAC Address 라는 48비트의 물리적 주소를 가짐

Hub

  • 여러개의 포트를 갖고 있으며 들어온 데이터를 그대로 재전송하는 단순한 장비
  • 허브에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상의 데이터를 연결해주는 기능만을 제공

Repeater

  •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신호 감쇄에 따른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에서 데이터를 증폭시켜주는 장비

2계층 장비

  • 데이터 링크 계층 : 오류 및 흐름 제어

Bridge

  • 동일한 방식의 LAN들을 연결해주는 장비

Switch

  • 느린 전송 속도의 브리지와 허브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
  • 허브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지만, 데이터를 수신하는 컴퓨터에만 데이터를 전송
  •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기 떄문에 허브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

3계층 장비

  • 네트워크 계층 : 최적의 경로를 선택

Router

  • 네트워크 간 연결에 사용되는 최적의 전송 경로를 찾아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비

BackBone

백본 네트워크

  • 기간망으로 불리는 대규모 패킷 통신망

  •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대규모 전송회선

  • 보통은 백본은 Internet Backbone Network를 의미

백본 스위치

  • 네트워크 중심에 위치하며 모든 패킷이 지나가는 역할

  • 많은 트래픽을 처리해야 하므로 기가급 장비를 사용

스위치 종류

L2 스위치

  •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운용되는 스위치
  • Mac주소를 기반으로 스위칭

L3 스위치

  • 인터넷 계층에서 운용되는 스위치
  • IP주소 기반으로 스위칭
  • 라우팅 기능이 탑재되어 있음

L4 스위치

  • 전송 계층에서 운용되는 스위치
  • QoS 설정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음
  • 서버나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로드밸런싱

L7 스위치

  • 응용 계층까지 운용되는 스위치
  • 응용 계층 패킷까지 분석하여 보안 장비에 주로 사용

네트워크 관련 용어

사물 인터넷 | IoT, Internet of Things

  • 실세계와 가상세계의 다양한 사물들을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기반 시설

  • 센싱 기술,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, 사물 인터넷 인터페이스 기술, 사물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기술 등

사물 통신 | M2M, Machine to Machine

  • 기계와 기계 사이의 통신

  • 기계, 센서, 컴퓨터 등 다양한 장치들이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해 서로 정보를 교환
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-NC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